본문 바로가기

ECONOMIST

정책

정책

'2023 수출 전망'…전기전자1.9%↓·바이오헬스3.5%↑ [그래픽 뉴스]

Check Report

우리나라의 수출 품목 중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전기전자 업종의 수출 감소폭이 내년 1.9%에 달할 전망이다. 반면 바이오헬스 업종의 수출은 3.5%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16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수출 주력 업종을 대상으로 '2023년 수출 전망 조사'의 ‘업종별 수출 증감률 전망’에 따르면 기업들은 평균적으로 내년 수출이 올해 대비 0.5%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업종별로 내년 수출 증가율 전망치를 살펴보면 ▶전기전자(-1.9%) ▶석유화학·석유제품(-0.5%)은 감소하고 ▶철강(+0.2%) ▶자동차·자동차부품(+0.9%) ▶일반기계·선박(+1.7%) ▶바이오헬스(+3.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조사는 매출액 1000대 기업 중 반도체·일반기계·자동차·석유화학·철강·석유제품·선박·자동차부품·디스플레이·바이오헬스·컴퓨터·이동통신기기 등 12대 수출 주력 업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 참여 기업 중 60.7%는 내년도 수출이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으나 수출 감소를 예상한 기업도 39.3%에 달했다. 수출 증가를 전망한 기업들은 ▶높은 수준의 원자재 가격 지속에 따른 수출경쟁력 약화 ▶주요 수출 대상국의 경기 부진 ▶해상·항공 물류비 상승 등 물류 애로 등을 주요 요인으로 지목했다. 기업들은 수출 부진 대응 전략으로 ▶공장운영비·판관비 등 비용절감 ▶채용 축소 등 고용조정 ▶투자 연기 및 축소 등을 검토 중이라고 응답했다.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 정책 우선순위로 ▶원자재 수급 관련 세제 지원 ▶수출물류 차질 방지를 위한 지원 ▶공급망 애로 해소를 위한 외교적 노력 강화 등을 꼽았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코로나19 위기 이후 한국경제 성장을 주도해온 수출 증가세가 정체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정부는 원자재 수입 관련 세제 지원 확대, 수출물류 차질 방지 등 우리 기업의 수출 실적 개선을 위한 환경조성에 총력을 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연서 기자 yonso@edaily.co.kr

2022.12.24 18:00

2분 소요
1인 가구 가장 많은 곳, 강남구 역삼동…배달 이용은 신림동 1위 [그래픽 뉴스]

산업 일반

서울시 1인 가구 수가 지난 6월 기준 153만4000가구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지난 8월 29일 '서울 시민생활 데이터'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서울시가 SKT, 서울시립대와 협업해 인구·가구 통계 등 공공데이터와 가명 처리한 통신데이터를 결합해 데이터를 만들었다. 데이터에 따르면 1인 가구 수가 가장 많은 곳은 강남구 역삼1동으로 1만6130가구였다. 광진구 화양동(1만5049가구), 관악구 청룡동(1만2798가구)이 뒤를 이었다. 인구 대비 1인 가구 수가 많은 행정동은 관악구 신림동(1만2258가구, 66%), 중구 을지로동(860가구, 60%), 광진구 화양동(1만5049가구, 59%) 순이었다. 나이에 따른 차이도 나타났다. 20∼30대 1인 가구는 대학가나 회사가 많은 곳에 몰렸으며 60대 이상 노년층은 강북·도봉·노원구에 주로 거주했다. 이 가운데 20대는 전체 밀집 지역과 1인 가구 밀집 지역이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40대는 전체 인구가 가장 많은 행정동(양천구 신정3동)과 1인 가구 밀집 지역(강남구 역삼1동)에 차이가 있었다. 배달서비스를 가장 많이 이용한 곳은 관악구 신림동으로 월평균 18.4회 접속했다. 이어 강남구 논현1동(18.1회), 강남구 역삼1동(17.6회) 순이었으며 1인 가구 밀집 지역에서 빈도가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25∼34세에서 가장 많았다. 문자와 통화량 등을 토대로 유추한 '소통이 적은 1인 가구'에서는 남성의 비중이 크게 나타났다. 특히 명동, 을지로, 회현동 등에서 인구 대비 비중이 컸으며 도심에 거주하는 중장년 이상 1인 가구의 통신 기반 커뮤니케이션이 적은 것으로 추정됐다. 평일 외출 빈도는 40∼44세를 기점으로 나이가 들수록 남성과 비교해 여성이 높게 나타났다. 전체 인구 대비 평일 외출 빈도가 적은 1인 가구의 비율은 관악구 대학동(5.1%)과 종로구 창신1동(4.1%), 도봉구 방학2동(4.1%)에서 높게 나타났다. 라예진 기자 rayejin@edaily.co.kr

2022.09.03 18:00

2분 소요
“출산율 1위는 세종, 꼴찌는 서울”…출생아 수 26만명으로 최저 [그래픽뉴스]

산업 일반

지난해 출산율이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출생아 수도 26만명대로 역대 최저치를 나타냈다. 8월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출생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26만600명으로 전년보다 1만1800명(-4.3%) 감소했다. 연령별 출산율을 보면 20대 후반 여성의 출산율(27.5명)이 3.1명 감소해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전체 연령 가운데 출산율이 가장 높은 30대 초반 여성(76.1명)도 1년 새 출산율이 2.9명 감소했다. 반면 30대 후반(1.2명), 40대 초반(0.5명) 등 35세 이상 여성 출산율은 오히려 늘었다. 특히 40대 초반 여성의 출산율은 7.6명으로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1993년 이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산모의 평균 출산 연령도 33.4세로 올라가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았다. 또 지역별로 보면 출생아 수는 광주와 세종을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전년 대비 감소했다. 시도별 출산율은 세종(1.28명)이 가장 높았다. 전남(1.02명)도 출산율이 1명을 넘겼다. 반면 서울 출산율은 0.63명으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낮았다. 평균 출산 연령 역시 서울이 34.2세로 가장 높았으며, 첫째 아이를 낳기까지 걸리는 평균 결혼생활 기간도 서울(2.7년)이 가장 길었다. 출생아 중 첫째 아이가 차지하는 비중은 서울(63.7%)이, 반대로 셋째 이상 아이가 차지하는 비중은 제주(12.9%)가 가장 높았다. 시군구 단위로는 전국 228개 모든 시군구의 합계 출산율이 현재 인구 규모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대체 출산율(2.1명)을 밑돌았다. 합계 출산율이 1명 이상인 시군구도 62개에 그쳤다. 특히 부산 중구(0.38명)는 전국에서 출산율이 가장 낮았다. 시군구 출산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전남 영광군(1.87명)이었다. 평균 출산 연령은 서울 서초구가 34.7세로 높았고, 강원 화천군은 30.3세로 낮았다. 출생아 수 자체는 경기 화성시와 수원시에 가장 많았다. 이외 출생아 수 상위 10개 지역 가운데 7개 시군구가 경기 지역에 분포했다. 라예진 기자 rayejin@edaily.co.kr

2022.08.27 18:00

2분 소요
“무서운 금리 상승”….20·30대 전세 위해 빌린 돈만 100조원 육박 [그래픽뉴스]

산업 일반

전세 자금 마련을 위해 20·30대가 은행에서 빌린 돈이 100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8월 15일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은행권 전세자금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4월 말 현재 20·30대가 은행에서 빌린 전세대출 잔액은 96조3672억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2조1915억원(2.3%) 늘었다. 전체 연령대 전세대출 잔액은 167조510억원 수준이었다. 20·30대의 은행 전세대출 잔액은 2019년 말 54조7381조원에서 2020년 말 76조1787억원, 2021년 94조1757억원으로 매년 급증해왔다. 가파른 전셋값 상승 여파로 20·30대로선 전세자금의 상당 부분을 빚으로 충당하지 않고서는 전세로 살 집을 구하지 못하게 된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20·30대의 전세대출이 늘면서 전체 전세대출 차주 가운데 20·30대 비중도 높아졌다. 4월 말 현재 은행권 전세대출을 차주 가운데 20·30대 수는 총 81만6353명으로, 전체 차주(133만590명)의 61.1%를 차지했다. 2019년 말만 해도 20·30대 전세대출 차주의 비중이 56.5% 수준이었다. 문제는 전세대출이 대부분 변동금리 대출이다 보니 차주 입장에서 금리 상승에 취약하다는 점이다. 전세대출의 지표금리가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는 6월 현재 2.38%(신규취급액 기준)로 1년 전(0.92%)보다 1.46%포인트 올랐다. 한편 은행권은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가고 있어, 코픽스에 연동되는 전세대출 금리도 당분간 상승 기조를 이어갈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한다. 라예진 기자 rayejin@edaily.co.kr

2022.08.20 18:00

1분 소요
“두나무 직원 93%, 토스 65% 증가”…국내 벤처 종사 76만명 [그래픽뉴스]

산업 일반

올해 상반기 기준 국내 벤처·스타트업 종사자는 총 76만여명으로, 1년 새 10%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벤처기업부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국내 벤처·스타트업 3만4362곳으로, 고용 인원은 총 76만1082명으로, 1년 전 동기대비 9.7%(6만7605명) 늘었다. 이 같은 증가율은 우리나라 전체 기업 고용보험 가입자 증가율 3.3%보다 3배 높은 수준이다. 특히 벤처투자를 받은 기업의 고용 증가율은 40.5%로, 전체 기업 대비 12배 이상 높았다. 벤처 투자 10억원당 고용증가 효과는 약 2.3명으로 나타났다. 벤처·스타트업 고용 인원 중 15∼29세 이하 청년은 26.9%인 20만4437명으로 1년 전보다 8.0% 늘었고, 여성은 24만9411명으로 12.9%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 신설 벤처·스타트업은 92곳으로 총 836명을 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년간 고용을 가장 많이 늘린 벤처·스타트업 10곳의 증가 인원은 총 4048명이었다. 기업당 평균 404.8명꼴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전체 벤처·스타트업 평균 고용 증가 인원인 2.0명 대비 200배가 넘었다. 이 중 1년간 고용을 가장 많이 늘린 기업은 신선식품 배송 플랫폼인 '마켓컬리'를 운영하는 컬리로, 인원이 701명 증가했다. 스타트업을 제외한 벤처기업만 놓고 보면 3만4174곳에서 총 75만380명을 고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6월과 비교하면 고용 인원이 9.6% 늘었다. 벤처기업 종사자는 이미 지난해 말 기준 총 72만2000명으로, 국내 4대 그룹 인원(72만명)보다 많았다. 업종별로 보면 정보통신기술(ICT)서비스, 유통·서비스, 전기·기계·장비 등 3개 업종에서 총 4만2698명(64.9%)이 증가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 소재 벤처기업에서 1년간 증가한 인원이 5905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번 분석 대상에 포함된 유니콘기업 14곳의 고용 인원은 1만942명으로 1년 전보다 39.4%(3092명) 늘었다. 이중 두나무 고용 인원은 총 494명으로 1년 전보다 93.0%(238명) 늘었고 모바일 금융 서비스 '토스'를 운영하는 비바리퍼블리카는 749명으로 65.7%(297명) 증가했다. 라예진 기자 rayejin@edaily.co.kr

2022.08.13 18:00

2분 소요
“남남이어도 괜찮아”…비(非)친족 가구원 100만명 돌파 [그래픽뉴스]

Check Report

법적 가족이 아닌 친구나 애인끼리 함께 사는 비친족 가구원이 지난해 처음으로 100만명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친족 가구 수도 1년 만에 10% 넘게 늘어나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지난 8월 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비친족 가구는 1년 전보다 11.6% 증가한 47만2660가구로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았다. 비친족 가구는 시설 등에 집단으로 거주하는 가구를 제외한 일반 가구 가운데 친족이 아닌 남남으로 구성된 5인 이하 가구를 의미한다. 2016년(26만9444가구)까지만 해도 20만대에 그쳤던 비친족 가구는 2017년 30만8659가구로 껑충 오르더니, 2020년 42만3459가구, 지난해에는 47만2660가구까지 늘었다. 비친족 가구에 속한 가구원 수도 함께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비친족 가구원은 101만5100명으로, 통계 조사 이후 처음 100만명을 돌파했다. 이는 2016년 58만3438명과 비교하면 5년 만에 가구원 수가 74.0% 급증한 것이다. 행정구역별로 보면 비친족 가구의 78.5%인 37만1064가구가 읍이나 면이 아닌 동에 거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경기도 12만6003가구에 비친족 가구가 가장 많았고, 서울이 9만9555가구로 뒤를 이었다. 비친족 가구의 절반가량(47.7%)은 서울·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셈이다. 새로운 형태의 가족에 걸맞은 법·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조사 결과도 나왔다. 지난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전국 만 18∼69세 성인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 결과, 10명 중 6명 이상(62.7%)은 가족의 범위를 사실혼, 비혼·동거까지 확대하는 데 동의한다고 답했다. 앞으로 결혼보다는 동거를 선택하는 사람이 늘어날 것, 혼인·혈연관계가 아니어도 생계·주거를 같이하는 사람이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에는 각각 87.0%, 82.0%가 동의했다. 라예진 기자 rayejin@edaily.co.kr

2022.08.07 15:00

2분 소요
“아이 키우려면 평균 월 72만원”…51% 대학졸업 때까지 지원 [그래픽뉴스]

Check Report

우리나라에서 자녀를 양육하는데 1명당 월평균 72만1000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월 26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2021년도 가족과 출산 조사' 보고서를 통해 전국 9999가구 중에서 실제로 경제적으로 지원하는 자녀가 있는 4055가구를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를 공개했다. 세부 지출항목은 어린이집·유치원 이용료, 공교육비, 사교육비, 자녀 돌봄 비용, 기타항목(의복, 장난감, 분유, 기저귀, 육아 용품비, 용돈, 의료비, 교통비, 통신비) 등이었고, 이 중에서 사교육비가 월 26만원으로 기타비용(월 34만9000원) 다음으로 많았다. 가구 특성별로는 가구의 소득과 학력이 높을수록, 농어촌보다 도시지역에 사는 경우에 자녀 1인당 양육 지출 비용이 많았다. 자녀 연령을 영유아, 초등학생, 중고등학생, 대학생 이상으로 나눠서 해당 시기 자녀가 있는 가구를 상대로 연령별 지출 비용을 추가로 분석한 결과, 영유아 자녀 지출금액은 월평균 60만6000원으로 조사됐다. 초등학생 자녀 지출금액은 월 78만5000원이며, 이 중 사교육비가 월 42만7000원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초등학생 사교육비 지출금액은 도시지역 월 45만5000원, 농어촌지역 월 29만5000원으로 거주지역에 따라 지출금액의 차이가 컸다. 중고생 자녀 지출금액은 월평균 91만8000원으로 상당히 높았는데, 역시 이 중에서 사교육비가 월 50만6000원으로 상당히 높은 비중을 보였다. 특히 중고생 자녀 가구 사교육비는 도시지역 월 54만9000원, 농어촌 지역 월 28만원으로 거주 지역별로 격차가 컸다. 대학생 이상 자녀 지출 비용은 월평균 73만6000원이었다. 또 보호자로서 사회 통념상 자녀를 언제까지 지원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 조사한 결과, 51.5%가 '대학 졸업 때까지', 24.2%는 '취업 때까지'라고 답했다. '고등학교 졸업 때까지' 지원해야 한다고 응답한 사례는 13.9%에 불과했다. 이밖에 '혼인 때까지' 7.7%, '언제까지라도' 2.7%로 나왔다. 라예진 기자 rayejin@edaily.co.kr

2022.07.30 17:00

2분 소요
“30대 줄고 50대 직원 늘었다”…‘삼성전자·대한항공’도 고령화 [그래픽뉴스]

Check Report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국내 기업 신규 채용이 감소하면서 직원 고령화가 심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7월 21일 기업분석 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2021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표하면서 주요 기업 27곳의 지난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의 연령대별 직원 수를 공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이 기업들의 지난해 전체 직원 수는 2019년보다 4.0% 줄어든 53만9077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30대 미만 청년층 직원은 2019년 16만4877명에서 지난해 12만6344명으로 23.4%(3만8533명)가 감소했다. 전체 직원에서 30대 미만이 차지하는 비중도 23.4%로 2019년보다 6.0%포인트(p) 낮아졌다. 반면 50세 이상 직원은 2019년 13만6081명에서 지난해 15만3131명으로 12.5%(1만7050명) 증가했다. 50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도 24.2%에서 28.4%로 4.2%p 상승하며, 30대 미만 비중(23.4%)을 앞질렀다. 30세 이상 50세 미만 직원들은 지난해 25만9602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9년보다 0.3%(856명) 감소한 것이다. 다만 이들이 전체 직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6.4%에서 48.2%로 1.8%p 상승했다. 2년 새 30세 미만 직원이 가장 많이 줄어든 기업은 삼성전자였다. 삼성전자 전체 직원은 2019년 28만7439명에서 지난해 26만6673명으로 7.2%(2만766명) 감소했다. 연령대별로는 30세 미만 직원이 2019년 12만4442명에서 지난해 8만9911명으로 무려 27.7%(3만4531명) 감소했다. 30세 미만 직원 비중도 43.3%에서 33.7%로 9.6%p 낮아졌다.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대한항공은 전체 직원이 2019년 2만965명에서 지난해 1만9409명으로 7.4%(1556명) 감소했다. 대한항공 30세 미만 직원은 같은 기간 1693명이 줄어 전체 직원 감소 인원보다 더 많이 줄었다. 조사대상 기업 중 50세 이상 직원 비중이 가장 높은 기업은 기아 53.2%, 현대일렉트릭 44.6%, 현대자동차 44.2%, 롯데쇼핑 40.3% 순이었다. 라예진 기자 rayejin@edaily.co.kr

2022.07.23 13:00

2분 소요
“곡물→사료→육류, 도미노 인상”…식량 가격 더 치솟는다 [그래픽뉴스]

유통

식량 가격이 치솟는 가운데, 하반기에도 급등 흐름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14일 농림축산식품부와 식품업계에 따르면 주요 식량 가격이 급등하면서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세계식량가격지수가 지난 3월 159.7포인트(p)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뒤 지난달까지 비슷한 수준이 유지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하기 전인 2018년과 2019년에는 식량가격지수가 각 월평균 95.9p, 95.1p로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지난해부터는 급등세를 보이면서 월평균 125.7p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 3월에는 160p에 육박한 것이다. 품목별로 보면 곡물 가격지수는 2019년 월평균 96.6p에서 지난해 131.2p로 상승했고, 올해 5월에는 173.5p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수로만 보면 지난 2∼3년 새 2배 정도 상승한 것이다. 특히 밀은 생산량 2위 국가인 인도가 지난 5월 식량 안보를 이유로 수출을 제한하면서 수급 불안 문제가 불거지면서 지난 12일부터는 밀가루 등 밀 관련 식품 수출에 대해서도 규제를 내린 상태다. 또 곡물 가격 상승에 따라 사룟값이 오르면서 육류 가격지수도 올해 상반기 꾸준한 상승세를 나타냈다. 문제는 이 같은 상반기 원료 가격 상승이 아직 시장에 본격적으로 반영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식품업계는 대부분 원료를 비축해두고 쓰기 때문에 원재료 가격 상승 영향은 3∼6개월 시차를 두고 나타난다. 이런 상황에서 원/달러 환율이 1300원대로 폭등하면서 수입 물가는 더 오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분석이 크다. 식품 업계는 ‘하반기에도 이 같은 상승세가 이어질 것’을 예상한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식자재 가격 인상하는 등 수급이 불안한 상황에서 운송비까지 증가하는 등 복합적인 요인이 겹치면서 하반기에는 더 큰 식품 제품 가격 인상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라예진 기자 rayejin@edaily.co.kr

2022.07.16 11:00

2분 소요
생계형 대출 찾는 60대…보험사 가계대출 10%↑[그래픽뉴스]

Check Report

만 60세 이상인 중장년층이 지난해 보험사로부터 가계대출을 받은 금액이 전년보다 10%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7월 4일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업권별 대출액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만 60세 이상 연령층 보험사 가계대출 잔액은 11조1625억원으로, 전년 말보다 10%(1조145억원) 늘었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보험사 가계대출 증가율(5.5%)의 두 배 가까운 수치다. 대출 종류별로 보면 60세 이상의 보험사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8조7265억원으로, 전년 말보다 8% 늘었다. 또 60세 이상의 보험사 신용대출 잔액은 17% 증가한 1조3256억원이었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보험사의 주택담보대출 증가율(5.8%)과 신용대출 증가율(2.2%)을 모두 웃도는 수치다. 이처럼 60세 이상 고령층에서 보험사 가계대출 증가율이 특히 두드러지는 이유는 이른바 '생계형 대출'이라고 불리는 보험약관대출 영향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 보험약관대출은 보험계약해지 환급금을 담보로 지급되는 대출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가 적용되지 않고 별도 심사 없이 대출받을 수 있다. 올해 3월 말 기준으로도 보험사 가계대출은 증가세를 이어갔고, 60세 이상에서의 증가율이 전 연령대 평균을 상회하는 특징이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지난 3월 말 기준 전체 보험사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보다 1.1% 늘어난 66조2580억원이었는데, 이 가운데 60세 이상의 대출 잔액은 2.9% 증가한 11조4899억원이었다. 라예진 기자 rayejin@edaily.co.kr

2022.07.09 17:00

1분 소요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1771호 (2025.1.27~2)

이코노북 커버 이미지

1771호

Klout

Kl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