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
“설 음식, 꼭꼭 씹어 드세요”...명절 ‘기도 막힘’ 주의보

소방청 구급 통계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떡·음식 등으로 인한 ‘기도 막힘’ 사고 출동 건수는 총 1290건으로 집계됐다. 심정지 인원은 415명이다.
기도 막힘 사고를 연령별로 살펴보면 60세 이상 고령층이 921명으로 전체의 83.4%를 차지했다. 피해자 10명 중 8명이 60세 이상인 것이다.
설 연휴 기간 기도 막힘 사고로 이송한 인원은 25명이다. 연평균 연휴기간 하루에 한 명 꼴로 ‘기도 막힘’ 사고가 발생한 셈이다.
실제 지난 19일 경찰 등에 따르면 강원도 춘천 남면의 한 노인정에서 A(91)씨가 인절미를 먹다 실신하며 심정지 상태에 빠졌다. 지인이 곧장 심폐소생술을 실시했으나, A씨는 끝내 회복하지 못하고 사망했다.
앞서 같은날 오전 10시18분 경에더는 정선 사북면의 한 교회에서 B(70)씨가 인절미를 먹은 후 심정지가 상태에 빠졌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 당국은 B씨를 인근 병원으로 이송했지만, 끝내 숨졌다.
지난해 2월 12일 설 연휴 기간 중 소방청은 충남 논산의 한 요양원에서 이물질이 목에 걸린 80대 남성의 신고를 접수받았다. 당시 119 구급상황관리센터 상담 요원은 영상통화로 환자 상태를 확인 후 ‘하임리히법’을 안내해 기도 내 이물질을 제거한 사례도 있다.
소방청은 만일의 사고에 대비해 기도폐쇄 응급처치법인 ‘하임리히법’을 익혀둘 것을 강조했다.
하임리히법은 음식이나 이물질로 인해 기도 막힘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를 뒤에서 감싸 안고, 명치끝과 배꼽 사이를 주먹을 쥔 채 힘껏 밀어 기도에 걸린 이물을 배출하는 응급처치법이다.
체중이 10kg 미만이고 1세 이하의 영아는 이 같은 방법을 사용할 경우 장기에 손상을 줄 수 있다. 아이의 경우 방법이 다르다. 먼저 머리를 45도 각도의 아래쪽으로 향하게 한 뒤, 손으로 가슴을 받친다. 이후 등을 세지 않게 손바닥으로 5번 두드리고, 검지와 중지를 이용해 영아의 젖꼭지 중앙을 강하게 누르며 이물질 배출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정보
당신이 좋아할 만한 정보
AD
추천
"허리통증" 심각환자.."이것" 하자마자..바로..충격!추천
79세 김용건 "고혈당, 당뇨" 예방하는 1%의 비밀!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나경원 “반자유·반시장 이재명과 가장 잘 싸울 수 있다”[만났습니다①]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새로운 인생 기대, 2세는 두 명”…코요태 김종민 장가가는 날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재명, 영남권 경선서 90%대 압승…충청 이어 2연승(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한화에어로 유증 여전히 물음표…또 제동 걸렸다[위클리IB]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국내 TPD 회사는 저평가 되었나…당면한 숙제는 '임상'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